김정관 16

관해헌2-바다를 거실로 당겨오다

무설자의 단독주택 이야기-관해헌2 觀海軒 - 바다를 거실로 당겨오다 하염없는 생각으로 바다는 이미 내마음에 들어 왔고, 대지는 발 아래 내려앉아 있다. 다시 대지로 돌아와 껑충 키를 키웠다. 마음을 열어 바다를 보며 대지를 다시 본다. 산의 능선 상에 위치한 대지, 길은 대지의 남쪽에 있는데 그 길에서 축대 위의 학교를 보았다. 학교에서 바다가 보이니 대지를 얼마나 들면 바다가 보일까? 학교에서 우리 대지를 내려다보니 맞은 편에 키 큰 소나무숲이 보인다. 소나무 사이로 멀리 낡은 아파트도 보여 바다가 보이지 않으면 주변 여건으로는 대지를 열 수가 없다. 대지의 가까운 주변을 벗어날 수 있을만큼 대지를 위로 울려야 한다 만약 이 집에서 바다를 볼 수 있도록 한다면 이 땅의 가치는 완전히 달라질 것이다. 남..

관해헌1-해운대, 바다가 보이지 않는 땅에서

무설자의 단독주택 이야기-관해헌1 관해헌 -해운대, 바다가 보이지 않는 땅에서 대지위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지역지구 : 자연녹지.일반주거지역 대지면적 : 588M2(177.87평) 건축면적 : 116.52M2(35.25평) 연 면 적 : 286.40M2(86.64평) 건 폐 율 : 19.82% 용 적 률 : 32.81% 규 모 : 지하1층, 지상2층 설 계 : 김정관 茶를 우리며 숙우에 물을 붓는다. 한껏 끓인 물을 천천히 부어 식힌다. 덜 끓여 낮은 온도로 써도 안되고 너무 끓여도 못 쓴다. 물의 기운이 다스려질 정도로 끓여서 써야 찻잎과 잘 교합되어 좋은 차를 낼 수 있는 것이다. 건축사는 작품이 될만한 작업을 만나면 열정을 한껏 높인다. 하지만 잘 삭혀야만 원하는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

二入齋-초읍동 주택

이입재(二入齋): 초읍동 주택 -古家風의 주택에서 아파트 풍경을 다시 생각하다 글 : 부산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이동언 사진 : 이인미 채움-비움의 균형, 자연과 조화 '이입재'에선 넉넉한 여유로움이... 아파트 11층에 사는 나는 김기택의 시, ‘그는 새보다도 땅을 적게 밟는다’를 읽고 정말 의아했다. 사람이 새보다 적게 땅을 밟을 수 있을까? 가만히 따져보니 인간이 확실히 새보다 적게 땅을 밟는다. 그 사실에 크게 공감한 바 있다. 그것은 정말 예리한 관찰력과 통찰력의 소산이다. ‘날개 없이도 그는 항상 하늘에 떠 있고 새보다도 적게 땅을 밟는다 엘리베이터에 내려 아파트를 나설 때 잠시 땅을 밟을 기회가 있었으나 서너 걸음 밟기도 전에 자가용 문이 열리자 그는 고층에서 떨어진 공처럼 튀어 들어간다 휠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