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반건축사사무소 77

글로 풀어쓰는 '이입재'-2010 부산다운건축상 은상수상작

글로 풀어쓰는 이입재二入齋 2010 부산다운 건축상 은상 수상 설계 : 도반건축사사무소 김 정 관 시공 : 용우하우징 이 창 호 집에서 행복에 이르는 두 가지의 입장-二入, 이입(理入)과 행입(行入)을 생각하며 만든 집, 이입재二入齋 이입(二入)이라는 말은 중국에 선종을 일으킨 달마의 선어록인 《이입사행론》에 나오는 말이다. 二入四行, 선정에 드는 두 가지 길과 네 가지 행동을 말한다. 이입(二入)은 도에 이르는 두 가지 길로, 이입(理入)과 행입(行入)을 이른다. 이입(理入)은 진리의 깨달음을 통한 입문을 뜻하고, 행입(行入)은 이입을 바탕으로 한 실천을 통한 입문을 뜻한다. 화엄경 법성게에 이런 구절이 있다. 一中一切多中一 一卽一切多卽一 一微塵中含十方 一切塵中亦如是 "하나 속에 여럿이 있고 여럿 속에..

불교의 미래, 절을 바꿔 지어야 불교가 산다

제 사무실 근처에 규모가 제법 큰 포교당이 들어 섰습니다. 그런데 그냥 일반적인 모습의 집입니다. 박스 형태로 짓고 난간을 기와로 장식해 절 분위기를 조금 내었을 뿐 입니다. 간판만 절이지 분위기는 영 아닙니다. 이제 기와집이 아닌시대에 맞는 절의 형식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렇지만 프로그램도 없고 현대식의 절을 제대로 제안할 건축가를 찾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건축가인 제가 큰 사찰부터 포교당까지 현대식 사찰에 대한 제안을 준비했습니다. 콘크리트로 된 절을 설계를 하기는 했지만 아직 기와를 포기하지 못하는 스님을 설득하지 못해 양복에 갓쓰는 형식을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기와를 벗은 우리 시대의 절을 미리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스님들과 불사를 준비하는 이들이 읽고 사찰을 짓는데 반영을 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