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이야기/행복한 삶을 담는 집 이야기

다시 찾아야 할 '지어서 써야 하는 것'에 대하여-무설자의 행복한 삶을 위한 집 이야기 1

무설자 2014. 5. 18. 14:13
728x90

 

무설자의 행복한 삶을 위한 집 이야기 1

다시 찾아야 할 ‘지어서 써야 하는 것’에  대하여                                                                                                                                     

                                                      

밀양시 단장면 무릉리 소재 이안당 전경 - 설계 : 도반건축사사무소  / 건축사 김 정 관                외관을 소박하게 지어서 기존 마을과 어우러져서 사는 의미를 생각했다. 뒷동이 침실동, 돌출되어 나온 동이 거실과 주방이며 지붕 아래 넓은 다락이 있으며 침실동의 큰 창이 온돌방이다. 한옥의 정서를 적용해 지은 집이라 환갑을 훌쩍 넘긴 건축주 부부는 너무 만족스런 반귀촌 생활을 하고 있다.

 

흔히 쓰는 말이지만 만든다짓는다는 큰 차이가 있다. 옛날에는 옷과 음식, 집은 지어서 썼으며 약과 글, 농사도 짓는다는 표현을 쓰고 있다. 하지만 지금은 옷도 만들어진 것을 사서 입으며 음식마저도 만들어서 파는 것을 사먹을 뿐 아니라 집도 만들어서 파는 집을 분양받아서 산다.

 

짓다를 사전에서 찾아보니, ‘1.재료를 들여 밥, , 집 따위를 만들다. 2.여러 가지 재료를 섞어 약을 만들다. 3., 소설, 편지, 노래 가사 따위와 같은 글을 쓰다.’라고 나와 있다. 살아가는데 필요한 의식주와 약, 글은 '만든다'로 쓰지 않고 '짓다'로 따로 쓰고 있다. 이렇게 살펴보니 정성을 들여 만들어 쓰는 건 짓는다고 썼음을 알 수 있다.

 

지어서 써야 한다지만 만들어서 파는 것을 쓴다고 해서 무슨 문제가 있는 것일까? 삶의 근간이 되는 의식주와 관련되는 것과 약, 글 등을 쉽게 사서 쓰다 보니 생기는 문제는 지금의 삶을 찬찬히 살펴보면 알 수도 있다. 일상에 필요한 그 어떤 것이라도 돈만 주면 살 수 있으니 남용이나 오용으로 삶 자체가 가벼이 여기게 되었다.

지어서 써야 한다지만 만들어서 파는 것을 쓴다고 해서 무슨 문제가 있을까?

 

집이 상품화된 아파트를 분양받거나 부동산 투자의 수단이 되어 옮겨 다니는 생활에 익숙해지면서 집다운 집에 대한 의식이 옅어지고 말았다. 옷은 직접 지어서 입기 어렵겠지만 밥까지도 지어서 먹지 않다보니 한 집에 사는 가족은 있어도 식구는 아니지 않는가? 그러니 일상에서 얻어지는 행복이 무엇인지 놓쳐 버리게 되지 않았는지 싶다.

 

집에서 밥을 먹지 않으니 얼굴을 마주하고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일상의 자리가 없어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다. 한 집에서 살아도 잠만 같이 자는 사이로 전락해 버린 이 시대의 가족상, 거의 매일 보도되는 크고 작은 받아들일 수 없는 사건의 시작이 밥을 같이 먹지 않는데서 비롯된 것은 아닐까? “밥은 먹고 다니냐?”라는 어느 광고의 멘트가 마음에 무겁게 와 닿는 건 왜일까?

 

아파트에 살기 전에는 좁은 집에서도 대가족 제도가 유지 되었다. 그런데 아파트에 살면서 핵가족이 되었고 이제는 원룸 투룸이라는 도시형주택에서 혼자 살아가는 사람이 급속하게 늘고 있다. 사람이 찾아오지 않는 아파트, 가족들마저 잠자는 시간이 되어야 집에 들어오니 손님이 방문한다는 건 드라마에서 볼 수 있는 장면이 되고 있다.

의식주와 관련되는 건 지어서 써야만 삶의 기본이 회복될 수 있다

 

의식주와 관련되는 건 지어서 써야만 삶의 기본이 회복될 수 있다는 걸 아는 사람이 늘고 있다. 집이 우리네 삶에서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된 사람들은 아파트에서 나와서 집을 지으려고 한다. 만들어서 파는 건 너무 흔해서 골라 사서 쓰면 되지만 지어서 쓰려면 정성을 다해야 필요한 만큼 얻을 수 있다.

 

집을 지어서 텃밭을 일구고 밥을 지어서 먹는 사람들은 지어서 살아야 행복해질 수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서툰 농사지만 텃밭에서 지은 채소는 볼품없지만 소중한 수확물이다. 그 채소로 밥을 지어 먹으며 얻는 행복을 어떤 가치와 비교할 수 있을까? 행복한 삶의 바탕이 되는 건 당연히 집에서만 얻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우리 식구의 행복은 집이 바탕이 된다고 하면 어떻게 지어야 하는 것일까?

 

 

김 정 관

건축사 / 수필가

도반건축사사무소 대표

 

 

담디 E-MAGAGINE 제5호 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