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설자의 에세이 차 이야기 080504
차의 별칭 7가지
차가 이렇게 멋진 별칭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오늘 알게 되었습니다.
다인들의 대명으로 쓴다면 아주 적합하리라 생각합니다.
이 글을 읽고 대명을 바꾸실 분들은 제 허락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ㅎㅎ
이제 그 멋진 이름을 한번 살펴봅시다.
우선 이글의 근거는 다음 카페 불교인드라망의 '慧心鏡' 님 쓴 글에서 가져왔습니다
1. 감후(甘侯):
이렇게 이름을 붙인 분은 차를 이렇게 '달콤한 군주'로 부르면서 차를 가볍게 여기고 함부로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타일렀다고 합니다
이처럼 멋진 표현이 있을까요?
세상의 달콤함이 그 종류도 많겠지만 차가 주는 달콤함만 못할 것입니다.
아무리 마셔도 질리지 않는 그 끝 없는 달콤함입니다.
2. 삼백(森伯):
숲에 있는 나무 중에서 가장 어른이라는 뜻 같은데요.
차나무의 위치를 말해주는 것 같습니다.
세상의 나무잎이 차처럼 대접받는 게 있을까요?
낮은 곳에서는 티벳의 천막 안에서 소박한 그릇에서 양젖과 함께 끓여지는 수유차로, 높은 곳에서는 청조의 황제 곁에서 황금 잔에 담겨지는 그런 위치입니다.
낮은 곳에서도 높은 곳에서도 차는 없어서는 안 될 존재입니다.
3. 청우(淸友):
말 그대로 '맑은 벗'이라는 별칭입니다.
벗인데 맑은 벗이라면 어떤 존재일까요?
그 벗과 함께 있으면 내가 맑아집니다.
그런 벗이 있다면 늘 함께하고 싶겠죠?
그게 늘 우리 곁에 있는 차입니다.
4. 낙노(酪奴):
좀 특이한 별칭인데, '락'(酪)자가 젖끓인 물이나 과즙을 끓인 물을 뜻하므로, 낙노는 '젖동'(乳童)이라는 뜻으로 풀 수도 있겠습니다.
달콤함이라는 표현의 가장 높은 이름인 낙을 붙여 그렇게 나를 편안하게 해주는 보조자라는 뜻입니다.
이 얼마나 아름다운 이름입니까?
5. 소독신(消毒臣):
말 그대로 '소독을 해주는 신하'라는 뜻인데, 차가 모든 음식의 독을 풀어주는 존재라는 뜻을 강조한 것입니다.
이건 아주 차의 효능을 제대로 이름으로 붙인 것이네요.
내 몸과 마음의 불순물을 다 떨쳐내는 역할을 해주니 늘 우리 곁에서 애를 많이 쓴다는 거룩한 이름입니다
6. 척번자(滌煩子):
'번거로움을 털어내는 님'이라는 뜻의 별칭인데, 아주 철학적인 의미를 느끼게 하지요?
차를 마시면 그렇게 되는 것이 아니라 차로 인해 형성되는 주변에 내가 함께함으로서 그렇게 되는 것 같습니다.
차, 그릇, 자연환경, 차의 역사 그리고 다인들이 나를 일상의 번거러움을 잠시라도 잊게 합니다.
7. 불야후(不夜侯):
차가 정신을 맑게 하여 잠을 줄이게 한다는 뜻에서 붙인 것 같습니다.
즉 '밤이 잊게하는 군주'라는 뜻일까요?
그래서 그는 가끔 차를 '잠을 깨우는 스승'이라는 뜻으로 '파수자'(破睡子)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잠을 줄여 배움을 이루려는 많은 분들이 좋아할 이름 아닙니까?
자 이 정도면 다인들의 호나 대명으로 쓴다면 얼마나 멋있겠습니까?
이제 신청을 해 보시지요.
심사해서 이름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무 설 자
'茶 이야기 > 에세이 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 잎 클로버, 차 되어 오다 (0) | 2008.06.14 |
---|---|
차로 인연이 된 다우께 드리는 기도 (0) | 2008.05.26 |
비와 외로움, 그리고 차 (0) | 2008.04.17 |
좋은 습관, 차 마시기가 운명을 바꾼다 (0) | 2008.04.13 |
[스크랩] 차에관한 20가지 상식 (0) | 2007.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