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2

단독주택 인문학 3 - 우리 시대의 가문, 가풍, 가장이 있는 '우리집'

여성경제신문 '더봄' 연재-단독주택인문학 3  요즘 가문(家門)⦁가풍(家風)⦁가장(家長)이라는 이 말들은 잘 쓰지 않을 뿐 아니라 그 의미마저 사전에나 있는 死語사어로 전락해 버렸는지 모른다. 이렇게 되고 만 건 아마도 삼대가 한 집에 살았던 대가족 제도의 붕괴에 따른 게 아닐까 싶다. 더 넓게 우리 사회를 바라보면 상하관계를 따지던 종적 인간관계가 무너지면서 가정도 가족 해체에 들어가게 된 것일 터이다.     삼대가 한 집에 살았던 시절에는 밥상머리 교육이라는 기초교육이 가정에서 이루어졌었다. 사실 대화가 아니라 가장의 일방적인 훈시였지만 그 당시 사회의 보편적인 규범에 벗어나지 않은 내용이었다. 그래서 청소년들이 잘못된 행동을 하게 되면 “네 아버지가 누구냐?”, “어느 집 자식이냐?”는 말을 들어..

가장의 역할

디자인 실장 디자인실장은 직접 일하지 마라. 디자인실장이 바쁘면 전체 흐름을 놓치게 된다. 어떤 스케줄로 가고 있는지, 어떤 디테일작업이 진행되고 있는지, 전체 흐름을 항상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디자인 실장은 일에 매몰되지 않고, 마치 호랑이가 어슬렁거리며 먹잇감을 찾듯이 여유로우면서도 날카롭게 진행상황 전체를 보고 있어야 한다. 부하직원들이 잘하게 하는 방법을 연구하라. 실장이 직접 스케치를 한 장 만드는 동안, 직원들에게 맡기면 열 장 이상이 나올 수 있다. 직원들의 어떤 점을 보완해주고 키워줄 것인지를 고민하라. 부하 디자이너들의 성공이 모여 디자인실장의 성공이 된다. - 김종명 / 한국리더쉽 교육센터 교수 - 리더는 절대 바쁘지 말라고 합니다. - 지식은 내 힘! 지혜는 모두의 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