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설자의 에세이 차 이야기 0945
아는 것만큼 보이는 것에 대하여
“모든 것은 덧없다. 쉼 없이 정진하라.”
붓다께서 열반에 드시면서 남기신 유훈입니다. 모르는 것을 부끄러운 일로만 돌릴 게 아니라 모른다는 건 어리석음이요 삶을 망가뜨릴 수 있습니다. 다들 눈으로 세상을 보지만 본 것을 꼭같이 받아들이지는 않습니다. 무학대사의 말씀처럼 부처님은 상대방을 다 부처로 보고 돼지는 돼지로 본다고 하셨지요. 그래서 아는만큼 보인다고 하나봅니다
3년을 기약하고 매달 세 절을 찾는 108고찰순례단에 참여해서 7월은 변산반도 일원의 세 절을 찾았습니다. 선운사, 개암사, 내소사입니다선운사는 동백꽃으로, 내소사는 국보급 꽃문살로 이미지를 가져옵니다. 그 중에 개암사는 죽염을 굽는 절로 알고 있을 뿐 특별한 관심을 두지 않았습니다. 세 절 중에서 규모도 가장 적어서 기대를 하지 않고 휘~둘러 볼 요량이었습니다. 그런데 정말 알지 못하면 볼 수 없는 것을 보게 되었습니다.
바로 알고 보아야 개암사 대웅보전의 특별함을 볼 수 있습니다. 눈을 뜨도록 해 준 분이 문화재해설사로 자원봉사를 하는 분이었지요. 우선 그 분께 감사를 드립니다.
고찰 순례라고 길을 나서보니 큰 절, 작은 절 할 것없이 대부분 새 절을 만들어 놓았더군요. 기존의 문화재는 옛 것에 대한 고증을 받아서 고쳐 지었겠지만 그 옆에 붙여짓는 전각들을 보자니 안타까운 마음에 눈길을 돌리게 합니다. 하지만 이 세 절은 그나마 고졸한 정취를 유지하고 있어 고맙기 이를 데 없습니다.
팔작 지붕의 당당한 모습에 기둥과 보, 기단까지 그 당당함과 자연스러움을 숨기지 않습니다. 단청도 올리지 않고 불화도 없어서 '집 그 자체를 드러냄' 그대로입니다. 한국 목조 건축의 측징은 자연과 하나되고자 하는 자연스러움이라고 하는데 그 표준으로 삼을만 합니다.
어간, 가운데 칸으로는 그 절의 주인되는 스님만 출입하는 곳이지요. 대웅보전의 현판을 잘 주목하시기 바랍니다. 절마다 다 있지만 계단 옆에 있는 기와불사 권선용 기와가 눈에 거슬리는군요.
바로 이 사진부터 개암사 대웅보전의 특별함을 보게 됩니다. 대웅보전이라고 쓴 현판이 다른 전각의 크기와 차이가 납니다. 평방平防을 가릴만큼만 소박하게 만들어 달았는데 포작이 끝나는 처마아래에 있는 용머리를 가리지 않기 위해서랍니다.
대웅보전 내부는 불단을 뒤로 물리고 천장을 3단으로 접어올려 내부공간이 넓고 높게 되어 있습니다. 내부공간은 용들로 장식되어 있는데 불국토로 표현한 것이라고 합니다. 용과 봉황이 장엄하는 불국토의 세계가 펼쳐집니다.
사방 팔방으로 뽑혀진 부재들 끝을 용머리로 장식되어 용들이 여기저기서 꿈틀대는 것 같습니다. 날개를 활짝 편 극락새들이 이리저리 날아다닙니다. 용과 봉황이 얼마나 많은지 내부에만도 용 9마리와 봉황 13마리, 바깥으로는 용 2마리와 봉황 9마리가 있답니다.
여기에다 화려하게 꾸며진 닫집속에서도 용 5마리가 부처님을 호위하고 있습니다. 불전의 내부는 부처님이 주재하는 하늘 세계, 정토의 세계를 상징화하고 있습니다. 불교세가 강했던 시절의 사찰들에서는 (불국사가 대표적으로)가람전체가 불국토를 상징하도록 구성되었습니다. 조선조로 오면서 상징화의 범위가 법당 내부로 축소되어 그만큼 불교세가 위축되었음을 느끼게 하지만 정토에 대한 희구는 본질적인 소망임을 보여줍니다. <한국예술종합학교 건축과 김봉렬 교수님의 글을 부분 인용>
전각 처마밑으로 우측 모서리에는 우백호의 개념으로 호랑이 머리를 새겼습니다.
좌측에는 좌청룡으로 용머리를 새겨 좌청룡 우백호가 어우러진 길지임을 말해 줍니다.
이 건물의 큰 특징은 정면에 올려진 포작들의 아름다운 장식성입니다. 포작을 받치는 주두는 꽃잎 모양으로, 첨차는 연꽃 줄기로, 소로는 연꽃 봉오리 모양로 입체적으로 조각했습니다. 전체적으로 보면 위로 올라가면서 연꽃들이 환하게 핀 형상입니다.
이렇게 기둥 위에서 펼쳐지는 불국토의 표현을 보면서 절을 조성하면서 불국토에 대한 염원이 어떠했는가를 알 수 있습니다. 이 글을 쓰면서 순례길에서 들었던 내용과 관련 문헌에 나온 대웅보전에 대한 자료로 알아가는 즐거움에 마음이 그득해집니다. 개암사는 작은 절이지만 그 안에 담긴 중중무진의 세계는 끝이 없습니다.
지금 마시고 있는 차를 음미하면서 생각에 잠겨봅니다. 이 차 한 잔에 담긴 세계는 얼마나 넓고 깊을까요? 1000년, 2000년을 거슬러 올라가서 염제 신농이 차를 발견한 그 때부터 인간에게 가장 이로운 음료가 되었다고 하지요.
그리고 녹차, 백차, 청차, 황차, 홍차, 흑차...보이차로 만들어 마십니다.햇차, 묵은 차, 좋은 차, 나쁜 차, 싼 차, 비싼 차로 다투기도 합니다. 하지만 차가 가지는 진정한 의미를 담아 마시는 이는 얼마나 될까요? 알고 마시는 차와 모르고 마시는 차는 분명 같은 차라도 다른 차입니다. 차를 알아간다는 것, 그 귀함은 받아 들이는 마음과 나누는 마음이 우선 되어야 제대로 마실 수 있을 것입니다.
선운사 강당에서 차를 마시는 모자-허락없이 찍어서 죄송합니다
무 설 자
'茶 이야기 > 에세이 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우를 만나다 (0) | 2009.08.05 |
---|---|
고찰순례길, 내소사로 가는 순례 버스 안에서 차를 마시다 (0) | 2009.07.31 |
선물 (0) | 2009.07.25 |
보이차 향에 대한 시비 (0) | 2009.07.24 |
다우를 기다리며 (0) | 2009.07.14 |